최도은 ... 임을위한 행진곡(해설포함)
이 노래는 백기완의 [묏비나리](1980년 12월)에서 가사를 따 왔다.
원래의 시는 대략 이러하다.
(상략)
무너져 피에 젖은 대지 위엔
먼저 간 투사들의 분에 겨운 사연들이
이슬처럼 맺히고 어디선가 흐느끼는 소리 들리리니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 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싸움은 용감했어도 깃발은 찢어져
세월은 흘러가도
구비치는 강물은 안다.
벗이여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갈대마저 일어나 소리치는 끝없는 함성
일어나라 일어나라
소리치는 피맺힌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자여 따르라 산자여 따르라
(하략)
이 노래는 광주 항쟁 때 시민군 대변인으로 도청에서 전사한 윤상원과 79년 겨울 노동현장에서
일하다 숨진 박기순의 영혼 결혼식을 내용으로 하는 노래굿 [넋풀이]에서 영혼 결혼을 하는
두 남녀의 영혼이 부르는 노래로 작곡되었다.
기타와 괭과리의 반주가 함께 어우러지는 분위기가 호탕하면서도 투쟁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데,
지금 우리가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라고 부르는 마지막 구절이
원래는 '앞서서 가나니'였다는 점은 이 노래의 맥락을 짐작하게 한다.
즉 두 영혼이 '우리는 앞서서 가니, 살아 있는 자들이여, 기운을 내어 뒤를 따르라.'고
독려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다짐하는 내용인 것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0년대 초 광주항쟁의 패배감과 좌절감을 극복하고 승리의 의지와 투쟁적
역동성을 획득해낸 최초의 작품이다.
광주항쟁 직후인 1981년에 광주항쟁은 '항쟁'으로서보다는 '대학살'로 다가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엄청난 죽음에 충격받고 주체할 수 없는 패배감과
죽지 않고 살아남은 자로서의 자괴감, 죄의식에 젖어 있었고,
이러한 패배감과 자괴감은 198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까지 진보적 지식인들속에 자리잡고 있을 정도로 엄청난 것이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일찍이 그 패배감과 자괴감을 올바르게 극복해냄으로써
1980년대 새로운 노래의 시대를 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