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과 작별하기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혼으로 깨어진 관계, 퇴직,실직 등 누구나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상실감을 경험한다.
이런 깨진 마음, 감정의 앙금을 제대로 정리한다면 더 온전히 자신을 사랑하고,
더 섬세하게 다른 감정들도 느낄 수 있다.
1.자연스러운 감정임을 인정하라 : '슬퍼하지 말라, 참고 견더라 ' 등 슬픔에 빠져 있을 때
우리는 감정을 내보이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배워 왔다.
그러나 상실에 대해 슬픔을 느끼는 것은 정상적인 반응이다.
감정에 맛서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2. 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아라 : 상실감을 준 사건이나 대상과의 관계를 차분히 되돌아보는 것은
슬픔을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의 시작이다.
비슷한 상실감을 경험한 친구나 가족에게 솔직하게 털어놓고
'슬프다'라는 사실을 인정함으로써 감정의 앙금을 풀어버린다.
3. 일시적 해소법은 잊어라 : 우리는 흔히 음식, 알코올, 쇼핑 등으로 위안을 삼으면서 상실로 인한 나쁜 감정을 덮어 버리려 한다.
그러나 이는 잠시 기억에서 지워 버려 극복했다는 환상을 만들 뿐, 잘못하면 더 혼란스러워진다.
상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해 왔던 해소법을 바꾼다.
4. 잘못을 인정하라 : 가령 남의 지갑에서 몰래 돈을 꺼내 갔다거나 병문안을 못 가 미안하다는 등
누군가에게 입혔던 상처와 불쾌감을 준 행동을 적어 보라.
정리되지 않은 감정에 대한 책임은 자신에게도 있다.
다른 사람의 탓이라는 피해의식에서 벗어나 지금 겪고 있는 감정에 대해 스스로 책임져라.
5. 용서하라 : 상처를 받은 아픔에 계속 원한을 품고 용서하지 않는다면 정작 그로 인해 상처받는 것은 자신이다.
상실감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자유롭게 해야 한다.
자신의 행복을 위해 먼저 용서하라.
6. 나에게 편지를 쓰라 : 꼭 해야만 하던 사과와 용서, 알아주었으면 하는 자신의 감정을 편지로쓰면서
풀지 못했던 감정을 소통하며 정리하는 의식을 치르라.
그 편지를 믿을 만한 친구 앞이나 혼자 조용히 읽는다.
정리는 기억을 지워 버리는 것이 아니다.
감정을 정리함으로 고통스러운 상실감을 지워 버리는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는 일상은 누구나 비슷하거나...
표현하지 않아도.. 어떤 내면의 아픔이 있을 지 모릅니다
약한 모습을 보이기 싫어.. 일부러 강한 척 하는 것두 그럴테고
피어있는 꽃들이 아름답다고 느끼지만.. 실상. .바라보는 마음은
슬픔을 숨기고... 겉모습은 웃고있을 수도 있을테고요..
자신의 상실감을 먼저 느끼기 보다.. 소중한 자신을 돌아보며
오늘 하루 행복의 파랑새가 저와 울 회원님들의 마음안에 있었음 합니다.